2024-04-19 19:47 (금)
[경제 돋보기] 당장 생활비 걱정에 한숨만...여성 일자리 문제 심각
상태바
[경제 돋보기] 당장 생활비 걱정에 한숨만...여성 일자리 문제 심각
  • 이아름 기자
  • 승인 2021.03.05 1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여성 고용난 심각
경력단절 여성일수록 재취업 더 어려워
지난해 30대 여성 취업자 수, 7만7000명 감소

(시사캐스트, SISACAST=이아름 기자)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 두 명의 초등학생 자녀를 둔 주부 황미영(가명·40) 씨는 지난해 8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확산하면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둬야 했다. 초등학교 수업이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자녀들을 돌봐줄 사람을 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맞벌이 부부였던 황씨는 “내년이면 괜찮아지겠지”라는 생각으로 허리띠를 졸라매며 버텨왔지만, 이제 아이들의 교육비와 생활비를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 결국 친정 부모님께 아이들을 맡기고 재취업을 하기로 했다. 금세 일자리를 찾을 수 있을 거란 기대와 달리 황씨를 채용하겠다고 나선 곳은 11곳 중 단 1곳뿐이었다. 시간제 아르바이트라 기존에 직장에서 받던 연봉과는 비교할 수도 없는 금액이었지만, 이렇게라도 일을 할 수 있게 됐다는 현실에 감사해야 했다.


#. 서른 중반이 훌쩍 넘은 나이에 결혼도, 취업도 하지 못해 부모님에 기대어 사는 캥거루족 박하나(가명·38) 씨. 현재 프리랜서 편집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는 박 씨는 3년 전만 해도 업계에선 잘 나가는 프리랜서 디자이너였다. 업무 능력도 뛰어나고 일 처리도 빨라 박씨를 찾는 곳이 많았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을 주던 인쇄소와 출판회사들이 일거리가 줄어 이제는 연락조차 없는 상태다. 도저히 기다릴 수만은 없어 다시 회사 정직원으로 취직하려고 했지만, 박씨의 연봉을 맞춰줄 수 있는 곳은 없을뿐더러 시간제 아르바이트조차 구하기 힘든 실정이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최악의 고용위기를 맞고 있는 지금, 여성 취업자 수는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정부에 따르면 15~64세 여성 고용률은 56.9%에서 2019년 57.8%로 상승 곡선을 그리다가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56.7%로 떨어졌다.

특히 여성 고용률을 견인해 온 30~50대 여성 취업자 수가 큰 감소 폭을 보인다. 30대 여성 취업자 수는 2019년 216만8000명에서 지난해 209만1000명으로 7만7000명이 감소했고, 50대 여성 취업자 수는 2019년 276만9000명에서 작년 269만3000명으로 7만6000명이 줄었다.

올해 여성 일자리 78만개 만든다

이에 여성가족부와 고용노동부 등은 여성 고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관련 대책을 마련하고 올해 여성 일자리 78만 개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여성 고용률 감소 원인으로 ‘노동시장 내 성별 격차’를 들었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대면서비스업의 경우 남성보단 여성이 근무하는 경우가 많아 여성 고용률이 더욱 떨어졌다는 것.

또한, 휴교·휴원 등 돌봄 공백이 발생하면서 여성이 일을 포기하게 되는 상황이 많아지고 비대면 디지털 중심으로 전환되는 산업에 여성의 비중이 적은 것도 여성 고용률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이러한 악순환을 끊기 위해 정부는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고 공공·민간부문 여성 일자리를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먼저 돌봄·디지털·방역 등 서비스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를 중심으로 여성의 경력 등을 활용할 수 있는 5만7000개의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자료=여성가족부]
[자료=여성가족부]

또 경력단절여성을 고용한 기업에 특별고용촉진장려금을 지급하는 방안 등을 통해 여성 인력을 채용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러한 조치들은 약 78만 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정부는 추정했다.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한 대책도 마련됐다. 지난해 한시적으로 지원했던 가족돌봄비용 지급기간을 연장하고 일대일 맞춤형 방문 돌봄을 제공하는 아이돌봄서비스를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

돌봄종사자 직고용·가사노동자 표준계약 추진

정부는 여성이 다수 일하는 돌봄, 가사, 플랫폼 노동시장의 일자리 질 개선에도 착수한다.

사회서비스원을 지난해 11개에서 올해 14개로 확대해 돌봄서비스 근로자 직접 고용을 추진한다. 이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국가자격제도 가칭 '육아전문관리사' 도입을 위해 연구에 나선다.

[자료=여성가족부]
[자료=여성가족부]

가칭 '가사근로자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을 만들고 이들을 위한 표준이용계약서를 마련해 배포한다. 가사 플랫폼 노동 등 비정형 일자리의 근로 여건과 현황을 실태조사하고 보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관계 기관이 논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코로나19로 무급으로 가족돌봄휴가를 써야 했던 워킹맘(일하는 어머니)을 위해 가족돌봄비용 지원 기간을 코로나19 비상 상황 종료시까지 한시 연장할 계획이다.

여성 고용위기 체계적 대응과 경력단절 예방을 위해 경력단절 예방, 맞춤형 경력설계를 정부가 지원할 수 있도록 관계법령을 개정하고 중앙-지방 여성 고용협의체도 운영할 방침이다.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은 “이번 대책을 관계부처와 함께 충실히 추진해 나감으로써 여성 일자리가 신속하게 회복되고 미래 노동시장에서도 여성 참여가 확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