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19:47 (금)
[부자(富者) 보고서] 부자들 부동산보다 주식투자 선호
상태바
[부자(富者) 보고서] 부자들 부동산보다 주식투자 선호
  • 이산하 기자
  • 승인 2021.03.09 14: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21 부자보고서’ 발간
-지난해 적극적인 자산 리밸런싱 투자 성과 양호

(시사캐스트, SISACAST= 이산하 기자)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대한민국 부자들이 주식 투자 비중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가운데 부동산 비중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이란 응답이 많았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최근 우리나라 부자(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보유)와 대중부유층(1억원 이상 10억원 미만)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2020년 12월)를 통해 '2021 대한민국 부자 보고서'를 내놨다.

◆ 금융자산 조정…투자 성과 '양호'

지난해 부자들은 금융자산 포트폴리오를 크게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 및 예금과 같은 안전자산 비중이 증가한 동시에 주식 비중도 늘었다. 또한 사모펀드 사태로 펀드·신탁 비중이 감소하고, 장기 상품인 보험·연금 비중이 늘었다.

특히 주식투자의 경우 부자와 대중부유층 모두 적극적이었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부자의 53%가 코로나19 이후 주식 비중을 늘렸다고 응답했다. 대중부유층의 48%도 주식 비중을 늘렸다.

적극적인 자산 리밸런싱(재조정)으로 지난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양호한 투자수익률을 거뒀다. 금융자산 수익률 10% 이상의 고수익을 거둔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주식 직접투자(49%)와 주식형펀드(13%) 덕분이었다고 응답했다.

◆ 절반 이상 "경기 더 안 좋아질 것"

부자와 대중부유층이 체감하고 있는 경기 전망은 부정적이었다. 실물 경기의 경우 응답자의 61%가, 부동산 경기의 경우 52%가 '앞으로 더 안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부정적 경기전망을 바탕으로 부자와 대중부유층의 절반 이상은 올해 '현재의 자산 구성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적극적인 자산 리밸런싱보다 '관망하겠다'는 입장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자들은 부동산보다는 금융자산의 비중을 늘리겠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특히, 부동산 고액자산가(보유 부동산자산 50억원 이상)의 29%는 부동산 비중을 줄이겠다고 응답했다. 부동산 관련 세금 부담이 가중됨에 따라 부동산자산에서 금융자산으로 리밸런싱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하나금융연구소에 따르면 부자들의 경우 지난 5개년 조사 중에서 '현재 자산 구성을 유지하겠다'는 응답률(51%)이 올해 가장 높았고, '부동산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라는 응답 비율은 8%로 최근 5개년 가운데 가장 낮았다.

◆ 주식 투자 선호 현상 지속 전망

올해 부자와 대중부유층이 투자할 계획인 금융상품으로는 단기금융상품, 지수연계상품, 정기예금, 주식 직접투자, 외화자산(해외주식·해외채권·달러 등) 순이었다. 단기금융상품과 정기예금 등 안전자산과 예비성자금은 여전히 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상품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자들의 경우 주식 직접 투자와 주식형 펀드 모두 작년 대비 선호도(주식 12%→36%, 주식형펀드 14%→21%, 1·2·3순위 응답 통합)가 높아졌다.

외화자산 투자 계획 의향이 높았다. 특히 외화 예금보다는 해외 주식에 대한 투자 의향이 상승했다. 주식 시장에 대한 긍정적 전망과 더불어 부자들의 국내 및 해외 주식 선호 현상은 올해도 계속될 전망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이수영 연구위원은 "부자들과 대중부유층은 자산 리밸런싱에 대한 관망세가 우세한 가운데 부동산보다는 금융자산으로 관심이 옮겨온 경향이 있다"면서 "단기금융상품과 예금의 비율을 일정 부분 유지하면서 국내 및 해외주식, 지수연계상품, 주식형 펀드 투자를 통해 적극적으로 수익을  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 부동산 '현 상태 유지' 응답이 절반 이상

지난해 부동산 자산가치 상승으로 부자들의 부동산 자산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동산 포트폴리오 중에서 거주목적주택 비중이 크게 증가해, 상업용 부동산 비중을 넘어섰다. 거주목적주택 비중이 41%를 차지하고, 상업용부동산과 투자목적주택 비중이 각각 34%, 11%였다.

부자들은 정책 변화에 상관없이 '현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부동산을)매입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이 43%에서 56%였고, 매각의 경우에도 '현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응답이 51%에서 56%로 늘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종합부동산세 부담 증가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뚜렷한 대응 방안이 없다'(38%), '증여'(31%), '매각'(26%) 순으로 응답했다. 보유 부동산 자산이 높아질수록 매각보다 증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 부자 총 자산 30억~50억원이 31%

부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총 자산은 30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이 31%, 50억원 이상 100억원미만에 29%가 분포하고 있었다. 총 자산 중 53%는 부동산 자산이라고 응답했다. 이에 반해 대중부유층은 총자산 10억원 미만 구간에 절반 가량 분포하고 있었다. 자산 포트폴리오 중 부동산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6%였다.

가구 연소득은 부자들의 경우 2억원 이상이 46%로 가장 많았고, 2억원 이상 소득 구간에서 사업소득 34%, 근로소득 33% 재산소득 21% 순이었다.

반면 대중부유층의 경우 가구 총 소득은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에 39%, 1억원 이상 2억원 미만 구간에 33%가 분포되어 있었다. 전 소득 구간에서 근로소득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한편 부자와 대중부유층은 은퇴 후 예상되는 필요 생활비(부자 월 804만원, 대중부유층 월 420만원)의 약 39%, 44%를 연금으로 충당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부자들의 경우 예·적금과 보험, 부동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노후를 준비하고 있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