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18:07 (금)
동학농민운동의 실패와 한반도 위기
상태바
동학농민운동의 실패와 한반도 위기
  • 윤태현 기자
  • 승인 2019.06.16 0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캐스트, SISACAST= 윤태현 기자)

문재인 정부는 일제의 침략 의도를 제대로 읽지 못한 동학농민운동의 실패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급박한 국제정세에 걸맞은 외교에 나서야 하지 않을까? 사진제공=청와대

동학농민운동은 구한말 농민이 주체가 된 ‘아래로부터의 개혁’이다. 대원군이 왕권 강화를 위한 전통적인 개혁을, 갑신정변이 급진 개화파에 의한 ‘위로부터의 개혁’이라고 했다면, 개혁 주체가 농민인 것은 동학농민운동이 최초였다.

구한말 당시 지배층의 수탈과 일본의 경제 침략은 민생을 도탄에 빠뜨렸다. 이에 분노한 농민들은 전국 곳곳에서 봉기했지만, 전국적인 통일된 조직을 갖추는 데는 실패했다. 정부군은 우세한 무장력으로 농민군을 진압했다.

하지만 동학은 전국 조직을 갖췄다. 2대 교주 최시형은 초대 최제우의 처형으로 분열된 조직을 재정비했다. 전국 조직망인 포접제를 실시했고, 동경대전과 용담유사 등 교리 전파에 역량을 집중했다.
무능한 조선 정부에 등을 돌린 농민들은 동학에 매료돼 동참하기 시작했다. 교세가 확장되자 종교 단체가 아닌 정치력을 가진 정치 집단이 된 동학은 자신들의 개혁안을 만들었다.

마침 고부 군수 조병갑의 패악질이 동학교를 자극했다. 동학의 고부 접주 전봉준은 조병갑의 패악질을 참지 못하고 무장봉기에 나섰다. 정부는 성난 민심을 달래고자 안핵사를 파견했으나, 이용태는 오히려 불난 집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됐다.

전봉준은 다시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이들은 제폭구민과 보국안민의 대의를 내세우며 민심의 호응을 구했다. 농민들도 전봉준에게 합세했다. 전봉준의 농민군은 태인, 황토현, 정읍, 나주 등 호남 일대를 휩쓸며 파죽지세로 정부를 압박했다.

동학군의 기세에 놀란 정부는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때처럼 청군의 개입을 요청했고, 일본도 텐진조약을 구실로 조선에 파병했다. 자칫 한반도는 제2의 임진왜란처럼 동아시아 전쟁으로 확전될 위기에 봉착했다.

동학군은 한반도에 진주한 외세를 막고자 정부와 전주화약을 맺고 해산했다. 전라도 곳곳에 폐정개혁안을 토대로 집강소가 설치됐다. 정부와 농민의 연합 개혁의 꿈이 실현되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동학농민봉기는 일본 제국주의자들의 야욕을 제대로 읽지 못했다. 자신들이 해산하면 청일 양군이 철수할 것이라는 순진한 생각이 앞섰다. 정부의 철수 요청을 거부한 일본군은 경복궁을 전격 점령하며 조선 정부를 무력화시켰고, 청군을 기습 공격했다. 전근대적인 무력을 가진 청군은 현대 무기로 무장한 일본군에게 연전연패했고, 시모노세키 조약이라는 치욕을 당했다.

청일전쟁의 승자 일본은 총구를 동학농민군에게 돌렸다. 우세한 무력을 가진 일본군에게 동학농민군은 상대가 되지 못했다. 충남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전멸에 가까운 참패를 당한 동학군의 봉기는 막을 내렸다.

동학농민운동은 反봉건·反외세라는 시대 요청을 실현하고자 하는 개혁운동이다. 하지만 일본제국주의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청일전쟁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한계도 부정할 수 없다.

최근 한반도는 미중 무역전쟁과 미북 대결구도가 동시에 펼쳐지고 있다. 경제와 안보 양쪽에서 위기론이 고조되고 있는 셈이다. 자칫 북중과 미국의 무력 충돌이 빚어진다면 한반도는 전쟁의 참화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일제의 침략 의도를 제대로 읽지 못한 동학농민운동의 실패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급박한 국제정세에 걸맞은 외교에 나서야 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