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17:36 (금)
[싱글족의 알뜰신잡-⑪] 월급쟁이 싱글족의 제로금리 투자법 “뉴딜펀드 투자해도 괜찮을까요?”
상태바
[싱글족의 알뜰신잡-⑪] 월급쟁이 싱글족의 제로금리 투자법 “뉴딜펀드 투자해도 괜찮을까요?”
  • 최기훈 기자
  • 승인 2020.09.07 13: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캐스트, SISACAST= 최기훈 기자)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투자는 늘 어렵다. 용어도 난해하고 의미불명의 복잡한 숫자가 나열돼있다. 그렇다고 넋을 놓고 있기엔 앞날이 캄캄하다. 한계가 뚜렷한 월급쟁이 봉급으론 미래를 설계하기가 좀처럼 어려워서다. 결국 떠밀리듯 재테크에 나서긴 했는데, 아뿔싸. 코로나19로 국내 증시가 혼란에 빠졌다고 한다. 기준금리까지 역대최저로 낮아지면서 초보 투자자가 섣불리 나서기 쉽지 않은 환경이란다. 계속 망설여야만 할까. 월급쟁이 싱글족의 제로금리 투자법을 알아보자. 이번 편에선 정부가 발표한 ‘뉴딜펀드’의 속내를 들여다봤다.


저성장·저금리 시대에 아무리 둘러봐도 수익을 얻을 방법을 찾기란 쉽지 않다. 유동성 과잉 덕인지 주가가 상승세를 타고 있지만 서민이나 개인투자자에겐 남의 나라 얘기다. 투자에 필요한 종잣돈을 마련하는 게 쉽지 않은데다 마땅한 종목을 찾는 것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마침 이때, 정부가 반가운 금융상품을 들고 나섰다. 한국형 뉴딜 사업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한 연 3%대 수익률을 보장하는 ‘국민참여형 뉴딜펀드’다. 정부의 경제 마스터플랜인 한국판 뉴딜을 뒷받침하고, 뉴딜 투자에 국민이 참여할 기회를 부여해 성과를 공유하겠다는 구상이다.

한국판 뉴딜펀드 구조[출처 : 금융위원회]
한국판 뉴딜펀드 구조[출처 : 금융위원회]

뉴딜펀드는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조성된다. 우선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의 재정출자를 통해 마련하는 정책형 뉴딜펀드가 있다. 앞으로 5년간 정부가 3조원, 정책금융기관이 4조원을 출자해 모(母)펀드를 조성하면, 민간금융기관과 일반국민이 13조원을 매칭해 총 20조원의 펀드를 조성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뉴딜 관련 기업과 뉴딜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자(子)펀드를 결성해 실제 투자를 집행하는 식이다.

인프라펀드는 민간 금융기관과 연기금 등이 만들게 된다. 데이터센터, 스마트 공동 물류센터, 육상·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 수소충전소 등이 뉴딜 인프라펀드 투자 대상이다. 민간 펀드는 일반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이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 개인이 투자할 수 있는 것은 정책형펀드의 자펀드, 인프라펀드, 민간 펀드 등에 해당한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세제 혜택이다. ‘정책형 뉴딜인프라펀드’와 ‘민간 뉴딜 인프라펀드’에 주어지는데, 2억원 이내 투자금에 대해 9% 분리과세를 적용할 계획이다. 애초 인프라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분리과세를 적용하기로 했던 계획에서, 혜택을 대폭 늘렸다. 또 뉴딜 인프라에 50% 이상 참여해야 하고, 공모형에게만 혜택이 제공된다. 투자 위험도 낮다. 정부와 정책금융이 후순위 출자를 맡아 투자 위험을 우선 부담하기 때문이다. 투자 상품에서 손실이 나면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이 떠안는다는 얘기다.

한국판 뉴딜펀드 구조[출처 : 금융위원회]
한국판 뉴딜펀드 구조[출처 : 금융위원회]

세제혜택도 뚜렷하고, 손실 위험도 적으니 개인투자자 입장에선 귀가 솔깃할만한 종목이다. 하지만 과거 출시됐던 정책금융상품의 결과를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 정부는 2010년 이후 다양한 금융상품을 출시했다. 서민의 재산 증식을 돕겠다는 목적을 앞세웠다. 하지만 출시된 정책금융상품은 ‘반짝 인기’ 이후 ‘외면’이라는 공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유는 별다른 게 아니다. 한푼이 아쉬운 서민이 아닌 정부와 금융사 입장에서 설계한 상품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마케팅 수단’에 버틸 재간이 있는 서민은 당연히 많지 않았다.

대표적인 게 2016년 등장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다. 정부는 절세 혜택·돈 마련·재산 증식·만능통장 등을 내세워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고 금융사도 각종 자동차·해외여행·가전제품 등 다양한 경품을 지급하며 고객 유치에 나섰다. 하지만  ISA를 취급하고 있는 국내 13개 은행들의 ISA 전용 예금 1년 만기 평균 금리는 1% 미만이다. 수수료를 떼고 나면 사실상 마이너스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통일 대박’을 외치며 개설한 ‘통일펀드'도 정권과 함께 사라졌다. 지난 2014년 자산운용사들이 줄지어 출시한 통일펀드는 2016년 개성공단 폐쇄 이후 수익률이 급락했다.

가장 최근엔 ‘필승 코리아 펀드’가 유행했다. 한일 무역갈등이 한창이던 지난해 8월 14일 출시됐다. 일본 수출규제의 타깃이 된 소재·부품·장비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면서 ‘애국펀드’로 불리기 시작했다.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등이 펀드에 가입하면서 이목을 끌었다. 아직까진 수익률이 높은 편에 속하지만, 다음 정권에선 외면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관제펀드는 보통 세제혜택을 강조하지만 만족할 만한 수익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의 세제혜택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면서 “실제로 많은 가입자가 재형저축과 예금형 ISA에 가입했지만 저금리에 실망하고 계좌를 해지했다”고 설명했다. 뉴딜펀드의 미래를 장밋빛으로 장담하긴 어려운 이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