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18:07 (금)
[JOB&JOB] “멈춰버린 푸드트럭”…정부 무관심과 코로나에 ‘더 이상은 힘들어’
상태바
[JOB&JOB] “멈춰버린 푸드트럭”…정부 무관심과 코로나에 ‘더 이상은 힘들어’
  • 김지영 기자
  • 승인 2021.10.28 14: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영업장소 확대 등 울타리 마련 시급…“다양한 지원 선행돼야”

(시사캐스트, SISACAST= 김지영 기자)

 

SBS 푸드트럭 프로그램 캡처.
SBS 푸드트럭 프로그램 캡처.

푸드트럭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존폐 위기에 처하기도 했지만 특히 청년창업 육성이라는 정부의 당초 목표와 달리 대출, 영업장소에 대해 까다로운 기준을 적용하면서 푸드트럭을 운영하는 사업자 전체가 사각지대에 놓이게 됐다.

“지자체 푸드트럭 입찰공고를 통해 영업구역을 낙찰 받아야해”

잇츠고 푸드트럭 O2O플랫폼 관계자는 “푸드트럭 업계의 가장 큰 문제는 영업지역이 제한적이라는 점”이라며 “상대적으로 영업지역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해외와는 다르게 한국의 푸드트럭은 영업구역을 지자체의 푸드트럭 입찰공고를 통해 낙찰 받아야 영업을 할 수 있고, 이 공고마저도 경쟁률이 심해 영업을 할 수 있는 푸드트럭은 소수에 불가하다”고 말했다.

이어 “조례를 살펴보면 공원이나 경기장 등 영업이 가능한데 요즘은 코로나로 유동인구가 없어 애를 먹는다”며 “조금 더 벌기 위해 외부행사를 뛰는 푸드트럭 사업자들이 있지만 참여 대수가 한정적이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간도 짧기 때문에 수익을 많이 낼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푸드트럭 사업자 폐업률…2018, 2019년도 각각 60%, 70% 넘어서

KBS 뉴스화면 캡처.
KBS 뉴스화면 캡처.

최근에는 수도권 지역의 급속한 코로나 확산으로 축제나 행사들이 줄줄이 취소되면서 업계의 고민은 더욱 깊어졌다.

푸드트럭 관계들은 “코로나 사태의 심각성은 이해하지만 우리 역시 당장 먹고 살 길이 없다”면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보통 푸드트럭은 유동인구 가장 많은 봄과 가을을 최대 성수기로 본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사실상 영업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푸드트럭은 지난 2014년 식품위생법, 도로교통법 등 적극적인 법 개정을 통해 푸드트럭 영업이 합법화 됐다. 2015년 청년창업과 규제개혁의 상징으로 육성하기 시작하면서 빠르게 상승세를 탔다.

하지만 영업장소와 관련 법규의 미비 등으로 푸드트럭 사업자 폐업률은 2018, 2019년도 각각 60%, 70%를 넘어섰다. 푸드트럭의 활성화를 가로막는 주된 원인은 규제와 관련 정책의 부재에 있다.

특히 입지에 대한 규제가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푸드트럭 산업에 대한 합법화 조치가 이뤄졌던 초기와 비교하면 영업 가능 구역이 늘어나긴 했지만, 지자체가 시장 활성화를 주도하기에는 부담이 크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기존 지역 상인과의 마찰이 심화되면서 지자체가 푸드트럭 입지에 대한 입찰공고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다.

수입이 없어 편의점 알바, 대리기사 등 투잡 뛰고 있어

@구글이미지.
@구글이미지.

한 푸드트럭 운영자는 “먹고살기 위해 약 3500만원의 종잣돈을 모아 푸드트럭을 시작했는데 현재 수입은 거의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그는 “코로나 발병 이후 국내 지역 축제가 줄줄이 취소되면서 전국에 있는 푸드트럭 사업자들이 전부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며 “현재 생계유지를 위해 오전에는 편의점 알바를 뛰고 오후에는 단속을 피해 옮겨 다니며 장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운영자는 “그동안 코로나로 모두가 힘든 시기니 ‘인내해보자’라는 마음으로 기다렸는데 기간이 너무 길어지다 보니 더 이상은 버티기가 쉽지가 않아 정리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수입이 없다보니 밤에는 대리기사를 뛰었는데 안정적이지 않아 생활이 안된다”며 “설령 다시하게 되더라도 영업장소 제한으로 쉽게 장사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70대의 푸드트럭을 선정해 ‘서울 푸드트럭 풀’을 운영할 계획이었지만 코로나 확산으로 취소된 바 있다. 

푸드트럭 영업 규모 증가세 꺾여

@CJ제일제당
@CJ제일제당

경기데이터드림 ‘푸드트럭 인허가 현황’에 따르면 경기지역 폐업점포 수는 2018년 85곳, 2019년 126곳, 2020년 5월 33곳으로 확인됐다. 반면 전국 푸드트럭 영업신고 건(사단법인한국푸드트럽협회·일시적 영업신고 미포함)은 2017년 448대, 2018년 325대, 2019년 276대로 해마다 줄고 있다.

장소별로는 지난해 대비 도시공원이 38→18건으로 가장 많이 줄었고 대학교 30→15건, 졸음쉼터 18→12건, 체육시설 39→30건 등 순이었다. 푸드트럭 영업 규모의 증가세가 꺾인 것은 2018년부터로 그해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끊겼다.

이후 2019년 지원 예산 규모가 늘었지만, 지난해 또다시 지원이 줄어들었다. 하혁 한국푸드트럭협회 회장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푸드트럭 산업에 대한 지원이 없는 데다 코로나까지 겹쳐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영업 장소 확대 절실…다양한 지원책도 뒷받침 돼야해

사진-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제공
사진-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제공

푸드트럭은 청년창업 뿐만 아니라 시니어도 쉽게 창업할 수 있는 업종인 만큼 앞으로 영업할 장소가 확대돼 폐업으로 이어지지 않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중소기업청 산하 소상공인진흥공단에서는 상권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를 적극 활용해 영업장소를 확장하고 멘토링 및 창업컨설팅, 창업 자금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푸드트럭 시장이 활발히 움직일 수 있도록 영업장소 입지규제를 완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푸드트럭 운영자들이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