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14:21 (일)
65세 이상 고령인구 증가... ‘고령사회’ 진입
상태바
65세 이상 고령인구 증가... ‘고령사회’ 진입
  • 이현이 기자
  • 승인 2018.08.27 16: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캐스트, SISACAST= 이현이 기자)

내국인의 중위연령은 42.4세로 2016년 41.8세보다 0.6세 증가했고, 65세 이상 고령인구비율은 13.6%에서 14.2%로 증가했다.

통계청은 27일 이와 같은 내용의 ‘2017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 방식 집계 결과’를 발표했다.

등록센서스 방식은 15개 기관의 주민등록부, 외국인등록부, 건축물대장, 학적부 등 25종의 행정자료를 활용한 집계 결과로 2015년 이후 매년 발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5천142만명으로 전년(5천127만명)보다 15만여명(0.3%) 늘었다.

수도권 인구는 2천551만9천명으로 전체인구의 49.6%를 차지했다. 경기도가 1천285만2천명으로 18만명 증가해 사상 최대인 전체의 25%를 차지했고, 서울 인구는 974만2천명으로 6만4천명 감소해 전체의 18.9%로 내려앉았다.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4.2%인 711만5천명에 달해 우리나라는 '고령사회' 진입을 확정했다.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로 들어선 지 17년 만의 일이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반면에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천619만6천명으로 전년(3천631만2천명)보다 0.3%인 11만6천명 감소했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한 지역은 17개 시도 중 76.5%인 13개 시도에 달한다. 229개 시군구 중에서는 72.9%인 167개에서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했다.

저출산 심화로 0∼14세 유소년 인구는 663만2천명(13.3%)으로 2016년 처음 65세 이상 고령 인구에 추월당한 이후 격차를 확대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유소년 인구보다 48만4천명 많다.

유소년 인구 대비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 지수는 107.3을 기록, 2016년(100.1)에 비해 7.2 증가했다.

생산연령인구(15∼64세) 대비 유소년 인구를 뜻하는 유소년 부양비는 18.6에서 18.3까지 떨어진 반면 노년 부양비는 18.7에서 19.1로 껑충 뛰어올랐다.

노령화 지수가 가장 큰 시도는 전남으로 171.5이었다.

세종시는 노령화지수가 47.8에서 45.5로 줄어 전국에서 유일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9개 시군구 중 고령인구가 유소년 인구보다 많은 시군구는 162개(70.7%)로 전년보다 6개 지역 늘었다.

노령화 지수가 가장 높은 시군구는 경북 군위군(647.5)이었고 울산 북구(38.6)가 가장 낮았다.

100세 이상 인구는 3천908명으로 전년보다 12.1% 증가했다. 시도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전남(22.0%)이 가장 높고, 경북(19.0%), 전북(19.0%), 강원(18.0%)순이었으며, 세종은 9.3%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고령인구 비율이 감소했다.

동 지역의 고령인구 비율은 12.5%, 읍 지역은 15.5%, 면 지역은 28.6%로 나타났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거주하는 외국인은 전년보다 4.6%(6만5천명) 증가한 147만9천명으로 총인구의 2.9%를 차지했다.

전체 외국인의 62.2%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 거주하며, 시군구별로는 경기 안산시(7만명)와 경기 수원시(4만9천명), 서울 영등포구(4만7천명), 경기 회성시(4만6천명) 순으로 많았다.

국적별로 보면 한국계 중국인(조선족)이 49만8천명(33.6%)으로 가장 많았고 중국인(21만2천명·14.3%), 베트남(14만8천명·10.0%) 등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하면 베트남(1만4천명), 태국(1만1천명)은 늘었지만, 미국(-7천명), 필리핀(-4천명)은 감소했다.

연령별로 보면 25∼29세 외국인이 24만4천명(16.5%)으로 가장 많았고 30∼34세(23만2천명·15.7%), 35∼39세(16만6천명·11.2%) 등 순이었다.

아울러, 아파트에서 거주하는 가구는 전체의 49.2%인 9.671천 가구로 전년의 48.6%보다 0.5% 증가했다. 이와 반대로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가구 비중은 33.3%로 전년대비 1.0% 감소했다.

[사진출처=통계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