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13:52 (토)
[유통가소식] 물가 상승에도 백화점은 ‘함박 웃음’
상태바
[유통가소식] 물가 상승에도 백화점은 ‘함박 웃음’
  • 김은서 기자
  • 승인 2024.01.02 21: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단일 매장 최초로 3조원 매출 달성
더현대서울 최단기간 1조 매출 돌파… 롯데백화점은 2조 매출 2개 확보 

(시사캐스트, SISACAST= 김은서 기자)

 

롯데백화점 소공동 본점. [사진=롯데그룹]
롯데백화점 소공동 본점. [사진=롯데그룹]

지난해 유통업계에서 백화점간 격돌이 치열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주요 백화점은 매출 상승세를 기록하며 승승장구 했다. 

신세계그룹에 따르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올해 연 매출 3조원을 돌파하며 한국 유통업계에 한 획을 긋는 새 기록을 썼다. 단일 유통 시설이 연 3조원의 매출을 올린 것은 국내 최초다. 

현대백화점그룹의 더현대서울은 오픈 2년 9개월만에 연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국내 백화점 중 최단기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의 올해 누적 매출(1월 1일~12월 2일)이 1조 41억원을 달성하면서 지난 2021년 2월 26일 오픈 후 33개월 만에 ‘연매출 1조원 점포’로 등극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해 본점 매출이 2조원을 넘기며 잠실점에 이어 2조 매출 매장을 두 곳으로 늘렸다. 롯데백화점은 본점이 지난 1979년 개장 이후 국내 최고의 유통시설로 자리매김해 지난해 역대 최대인 1조 9천343억의 매출을 기록했다.

신세계백화점, VIP 중심 MD 및 컨텐츠 주효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사진=신세계그룹]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사진=신세계그룹]

신세계백화점의 국내 매장 유일 3조원 매출 신화는 의미가 크다. 또한 경기 둔화 및 물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얻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성장세가 뒷받침되기까지는 VIP들의 역할이 컸다. 올해 신세계 강남점 구매 고객 중 VIP의 비중은 절반(49.9%)에 달해 신세계 다른 점포 평균(35.3%) 대비 월등히 높다.

VIP가 신세계 강남점을 찾는 가장 큰 이유로는 독보적인 MD(상품기획) 역량이 꼽힌다. 지난 2016년 신관 증축 · 전(全)관 리뉴얼을 통해 서울 최대 백화점으로 거듭난 강남점은 국내 백화점 최다 수준인 1000여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명품 라인업 또한 차별화된 구성과 깊이를 자랑한다. 에르메스(4개), 루이비통(3개), 샤넬(4개) 등 이른바 3대 명품인 ‘에루샤’를 비롯해 구찌(6개), 디올(4개) 등 럭셔리 브랜드들이 강남점에서만 각각 패션 · 화장품 · 주얼리 등 카테고리별 세분화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강남점은 100명에 달하는 VIP 서비스 전담 인력과 등급별 세분화된 VIP 라운지, VVIP 커스터마이징 등 품격 있는 서비스로 견고한 우수고객층을 유지하고 있다.
VIP 중심의 컨텐츠 외에도 구매력 높은 2030대 소비자들을 잡기 위한 다양한 MD 전략도 주효했다. 

실제로 서울 외 지역에서 신세계 강남점을 찾은 고객이 전체 매출의 50.3%로 과반을 차지한다. 수도권 고객도 23.2%로 타 수도권 점포 대비 10%포인트 이상 높아 명실상부 전국구 백화점으로 입지가 굳건하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 이하가 구매객의 40%에 달하고, 특히 20대가 10%를 차지하며 ‘잠재 고객’에서 ‘주요 고객’으로 자리매김한 것이 눈에 띈다. 올해 신규 고객 매출의 절반은 20~30대가 차지했다.

강남점이 이처럼 2030 세대로 고객층 확장에 성공한 것은 스트리트 패션과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를 대거 들여오면서다. 강남점은 지난해 뉴컨템포러리 전문관을 시작으로 올해 남성 컨템포러리 전문관, 프리미엄 스포츠 · 아웃도어 전문관 등을 이른바 ‘MZ 브랜드’ 중심으로 새단장해, 수년간 온라인에 집중됐던 영패션 수요를 오프라인으로 끌어오는 데 주력했다.

그 결과 스트리트 캐주얼(94.6%), 스포츠 · 아웃도어(51.6%) 카테고리가 젊은 고객들 중심으로 크게 신장하며 3조원을 달성하는 데 톡톡한 역할을 했다.

더현대서울, 백화점 중 최단시간 매출 1조 돌파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 전경. [사진=현대백화점 그룹]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 전경. [사진=현대백화점 그룹]

더현대서울의 매출 확대 속도가 가파르다. 지난해 더현대서울의 한해 매출액은 1조 41억원으로, 1조 클럽에 가입했다. 이는 2021년 2월 오픈 이후 33개월만에 거둔 성과이며, 국내 백화점 중 최단기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이러한 성과의 이유로는 내국인 고객뿐 아니라 외국 고객까지 흡수하는 다양한 컨텐츠 기획에서 비롯됐다. 더현대서울 외국인 매출은 2022년 전년 대비 731.1% 증가한 데 이어, 올해 1~11월에는 891.7% 상승했다. 현대백화점 전체 외국인 매출 평균 신장률(305.2%)의 3배에 육박한다.

실제로 더현대서울은 매장 내 영어와 중국어가 가능한 글로벌 전담 인력을 충원하는 등 외국인 쇼핑 편의 제고와 서비스 품질 강화를 실시한 바 있다. 이틀에 한 번 꼴로 진행하는 팝업스토어 역시 젊은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 여행객들의 발길을 사로잡는 주요 컨텐츠로 자리잡았다. 

실제로 더현대서울은 오픈 첫해 19.1%에 달했던 식품 비중은 2022년 16.5%, 올해 13.2%으로 서서히 감소한 반면, 영패션은 2021년 6.2% → 2022년 10.3% → 올해 13.9%로 식품 비중을 앞질렀다. 또한 2021년 8만 7,854원 규모였던 더현대서울 객단가는 지난해 9만 3,400원, 올해 10만 1,904원으로 매년 꾸준히 상승세를 타고 있다. 

앞선 8월에는 오픈 당시인 2021년과 비교해 누적 방문객이 2년만에 4배 이상 뛰었다. 현대백화점에 따르면 더현대서울의 누적 방문자 수는 2021년 2500만명에서 지난해 1억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또, 개점 이후 더현대 서울 구매 고객의 55%는 서울 이외 지역에 거주하는 고객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연평균 20%씩 성장해 온 해외명품 매출도 올해 전체 매출 중 25.6%를 차지하며 객단가 상승세를 뒷받침하고 있다. 더현대서울 객단가는 식품을 제외하면 현대백화점 서울 점포 중 압구정본점, 무역센터점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최근 더현대서울은 루이비통 매장도 오픈하며 해외명품 카테고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12월 더현대서울은 더현대서울 1층에 마련된 매장에서는 의류와 가방, 신발, 주얼리 등 루이비통의 여성 제품을 모두 만날 수 있다.

롯데백화점 중구점, 잠실점 이어 2조원 매출 기록

서울 중구에 위치한 롯데백화점 본점이 올해 매출 2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면서, 롯데백화점은 잠실점에 이어 '2조' 타이틀을 단 백화점 2개를 확보하게 됐다.

롯데백화점은 본점이 지난 1979년 개장 이후 국내 최고의 유통시설로 자리매김해 지난해 역대 최대인 1조 9343억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는 외국인 관광객 매출이 2022년대비 4배가량 늘었다. 롯데백화점 잠실점은 백화점과 에비뉴엘, 롯데월드몰의 시너지로 지난해 2조 5982억의 매출을 낸 바 있다.

아울러 3대 럭셔리 브랜드인 에르메스, 루이비통, 샤넬과 롤렉스 매장이 나란히 1층에 위치한 에비뉴엘 잠실점은 올해 단일 명품관 기준 국내 최초로 1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해 초 부임한 롯데백화점 정준호 대표의 확고한 전략에서 비롯됐다는 평가다. 정준호 대표는 부임과 함께 매장 리뉴얼을 통한 고급화 이미지를 비롯해 MZ들이 유입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 개발에 힘을 쏟았다. 

특히 롯데백화점 본점, 잠실점, 강남점 등의 리뉴얼을 진두지휘하면서 점포별 프리미엄화 전략을 실시하면서 잠실점에 이어 본점은 매출 2조 달성, 잠실점은 올해 매출 3조원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올해에는 지방 거점 도시에 위치한 매장들의 볼륨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경기침체로 불황형 소비가 장기화하면서 지방 점포의 중요성이 더 커진 만큼 지역 밀착형으로 매장을 바꿔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판단이다. [시사캐스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